본문 바로가기
건강 지킴이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원인, 증상, 검사, 치료 방법

by 사랑2 2024. 2. 23.
반응형

건강 검진을 받고 난 후 대사증후군 주의라는 아내를 받았습니다. 이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고 건강을 유지해야 하므로 알아보기로 했습니다.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이란 복부 비만, 높은 혈당, 높은 중성지방혈증, 낮은 HDL콜레스테롤혈증을 3가지 이상 가지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질병 단계인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의 진단 기준보다 수치가 낮게 나와서 아직은 병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주의가 필요한 단계입니다. 만약 이 단계에서 아무 대비 없이 지낸다면 결국 당뇨법, 고혈압과 같은 대사성 질환으로 넘어갈 위험이 높아집니다.

대사증후군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허리둘레 남자 90CM 이상, 여자 85CM 이상
중성지방 150mg/dL 이상
콜레스테롤 남자 40mg/dL , 여자 50mg/dL미만
공복혈당 공복혈당 100mg/dL 이상
혈압 130/85 mm/Hg 이상

 

이중에 3가지 이상 진단 기준에 해당되면 진단되지만 1개만 해당한다 해도 고위험군에 속함으로 관리를 시작해야 합니다.

하나라도 있으면 체내 나쁜 호르몬이 증가하므로 관리가 꼭 필요합니다.

 

대사증후군

  대사증후군의 원인

대사증후군의 원인은 운동 부족, 체중 증가 등 나쁜 생활 습관으로 인해, 혈당이 낮추고 대사 균형을 조절하는 인슐린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여 발생합니다.

 

 

  대사증후군의 검사

국가 건강 검진을 받고 난 후 수치가 높게 나왔을 경우 지역 보건소에서 연락이 먼저 옵니다. 그리고 안내문을 보내줍니다. 그리고 보건소 방문하여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검진 항목은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체성분검사이며, 검진 전날 금식 하고 방문하셔야 합니다.

 

  대사증후군의 증상

대사증후군은 증상이 없습니다. 아직 질병이 생긴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찾아보자면 복부 비만이 심하다거나 혈압이 높다면 당뇨가 생겼을 때 느끼는 증상과 비슷하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갈증과 많은 소변량, 시야가 흐려지고 무기력증이 나타납니다.

 

  대사증후군의 치료방법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낮추기 위한 방법은 식단 관리와 적절한 운동 그리고 바른생활습관을 지켜야 합니다. 바른생활을 해야겠습니다. 

  • 식단 : 과일, 채소, 콩류와 콩곡물, 생선, 견과류, 달걀, 유제품, 붉은 고기, 정제 탄수화물 등
  • 운동 :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하이킹 등) 주 3일 이상 , 30분 이상 권장합니다.
  • 체중 조절 : 체중 감소는 혈당, 혈압, 혈중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중성지방) 수치를 관리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대사증후군대사증후군대사증후군
대사증후군대사증후군대사증후군
대사증후군대사증후군대사증후군

반응형